전체 글 (186) 썸네일형 리스트형 첫번째 과학자,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만드로스는 공룡이 아니다으로 제2의 스티븐 호킹 으로 평가받는 카를로 로벨리. 그가 다시 조명한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과학자였던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만드로스는 공룡이 아니다 라는 경향신문 [책과 삶] 칼럼의 첫 문장을 보고 혼자 배꼽을 쥐며 웃었다. 그렇다. 아낙시만드로스는 새로운 공룡 이름이 아니다. 그는 신을 중심으로 한 종교적 신비적 세계관으로부터 과학적 사고로의 전환을 꾀한 자연주의 과학자이다. 인류 최초의 과학자는 누구인가? 에 대한‘제2의 스티븐 호킹’ 세계적인 물리학자 카를로 로벨리의 독창적인 사유 최초의 과학학명은 아낙시만드로스와 함께 시작되었다. 당신은 인류 역사상 최초의 과학자가 누구라고 생각하는가? 근대 과학의 포문을 연 갈릴레이, 뉴턴 등 걸출한 과학자의 이름을 떠올릴 수 있을.. All the Light We Cannot See 장편 소설로서 10년을 걸쳐 썻다는 책인데요 뜻 깊은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세계대전을 바탕으로 쓴 책입니다. 작가의 표현력이 돋보일 뿐 아니라 내용면에서도 많은 양과 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재미있다고 추천을 받아 보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책들을 많이 읽을 생각입니다. 좋은 책은 항상 읽고 싶은 마음입니다. 시간을 내서라도 많은 책을 읽고 싶습니다.모두가 눈감은 시절에 비춘 단 한 줄기 광채2차 세계 대전의 참혹한 경험에 얽히고설킨 이야기를 뛰어난 상상력으로 그려 낸 소설. 단순한 문체와 우아한 구성으로 기술의 힘과 인간 본성에 대해 탐색한다.-퓰리처상 선정단2015년 퓰리처상 수상작 우리가 볼 수 없는 모든 빛 . 장님 소녀 마리로르와 고아 소년 베르너가 2차 세계 대전 전후로 겪는 10여 .. 어린이를 위한 흑설공주 이야기 어린이를 위한 흑설공주 이야기 처음 대학에 입문한 후 사회과학서적을 접한 후의 충격을 생각하면 사춘기딸이 받은 충격의 강도를 십분 이해한다. 고정관념과 기존의 상식이라 일컫던 내용들이 일거에 바뀐 탓에 한편으로는 신기해하고 한편으론 통쾌해 하면서 애지중지한다. 아마도 그동안 알고 있던 동화의 세계에서 벗어나 답답하던 이야기 틀에서 발상의 전환을 통해 아, 이렇게도 이야기가 되는구나 싶어 두고두고 꺼낸다. 특히 남녀 차별에서 비롯된 이야기엔 흥분과 목소리 톤까지 달리하며 강요하다시피 읽을 것을 종용해 결국 기존 읽던 책과 순서를 바꿔서 먼저 읽기에 이른 것. 6편의 동화를 다루고 있고, 하나같이 생각의 전환을 통해 그동안 알고있던 이야기가 아닌 새로운 각도에서 보다 희망차게 전개되고 있고, 작가들이 소외되..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62 다음